본문 바로가기
👬 DY-연예+문화계 소식

로기완 정보 출연 송중기 최성은 공개일 넷플릭스 영화 / 조해진 장편소설 로기완을 만났다

by DY매거진 2024. 2. 4.
반응형

넷플릭스 영화 로기완

 

2024년 공개 예정인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영화 '로기완'은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다. 넷플릭스 영화 '노기완'이 3월 1일 공개를 확정 짓고 티저 포스터와 티저 예고편을 공개했다.

 

목차

     

    이 땅에서 살아남기로 했다!

    삶의 마지막 희망을 안고 벨기에에 도착한 탈북자 기완과 삶의 이유를 잃어버린 여자 마리의 만남과 헤어짐, 사랑을 그린 영화다.

     

     

     

    1. 넷플릭스 영화 '로기완' - 기본정보

    장르 로맨스, 드라마
    공개 일자 2024년 3월 1일
    공개 시간 2024년 3월 1일 / 시간 미정
    방송 채널 NETFLIX
    원작 조해진 - 소설 <로기완을 만났다>
    제작사 용필름
    제작진 감독 김희진
    각본 김희진
    프로튜서 장은영
    촬영 임원근
    조명 정해지
    미술 이하준
    출연 송중기, 최성은, 조한철, 김성령, 이일화, 이상희, 서현우 外~
    촬영기간 2023년 2월 6일 ~ 2023년 5월 28일
    스트리밍 넷플릭스
    시청등급 18세 이상가~

     

    2. 넷플릭스 영화 '로기완' - 영화 시놉시스

    넷플릭스 영화 로기완 시놉시스

     

    넷플릭스 영화 '로기완'은 탈북자 기완이 낯선 벨기에 입국 심사 앞에서 불안하고 초초하게 기다리는 로기완. 마침내 벨기에에 도착했지만, 가진 것 하나 없이 말도 통하지 않는 낯선 곳에서 혹독한 추위와 배고픔을 견디어 내야 하는 외로운 현실은 마음을 먹먹하게 한다. 마지막 희망인 난민 지위를 인정받고자 사투를 벌인다. 가진 것은 없어도 간절하게 살고 싶은 기완과 삶의 이유를 잃어버린 마리. 그들이 서로에게 이끌리듯 사랑에 빠져든다.

     

    3. 넷플릭스 영화 '로기완' - 등장인물

    1) 주요 인물

    배우 송중기

    로기완 역 / 배우 송중기

    삶의 마지막 희망을 안고 가진 것 하나 없이 온 머나먼 유럽의 낯선 땅 벨기에에서, 유일한 희망인 ‘난민’ 지위를 인정받기 위해 사투를 벌이는 탈북자.

     

    배우 최성은

    마리 역 / 배우 최성은

    삶의 이유를 잃어버린 벨기에 국적을 가진 한국인 사격선수. 악연으로 얽힌 로기완과의 첫 만남 이후 의도치 않게 사랑에 빠진다.

     

    2) 주변 인물

    배우 조한철배우 이일화배우 김성령

    이윤성 역 / 배우 조한철

    마리의 아버지.

     

    정주 역 / 배우 이일화

    마리의 어머니.

     

    옥희 역 / 배우 김성령

    로기완의 어머니. 기완이 벨기에로 향하는 결정적인 이유.

     

    배우 이상희배우 서현우

    선주 역 / 배우 이상희

    로기완의 벨기에 공장에서 만난 조선족 출신 인물.

     

    은철 역 / 배우 서현우

    로기완의 외삼촌.

     

    5. 넷플릭스 영화 '로기완' - 티저 예고편 보기

     

    장편

    6. 조해진 장편소설 《로기완을 만났다》

    조해진 장편소설 노기완을 만났다

    책소개

    한 탈북인의 삶을 담아낸 신예작가 조해진의 장편소설 「로기완을 만났다」. 벨기에 브뤼셀의 풍경으로 탈북인 로기완과 그의 행적을 추적하는 작가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벨기에로 밀입국한 함경북도 출신의 스무 살 청년 로기완. 방송작가인 '나'는 우연히 그의 이야기를 접하고 무작정 벨기에로 떠난다. 그곳에서 이제는 벨기에를 떠난 로가완이 3년간 기록한 일기를 구해 그의 자취를 하나씩 되짚어가는데... 작가는 다각적인 취재를 바탕으로 북한 주민의 탈북인들의 아픈 현실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로기완과 '나'가 이국에서 느껴야 했던 고독과 생경한 감각들이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다. 삶의 근원적인 슬픔을 이야기하는 동시에 연민과 유대를 통한 희망을 역설하는 작품이다.

     

    반응형